학사정보

개설과목 및 교과목해설

개설과목 및 교과목해설

개설과목

  • 1학년
    비주얼커뮤니케이션, 만화콘텐츠1, 미디어콘텐츠1, 상호작용예술과피지컬컴퓨팅, 미디어콘텐츠2, 사진&이미지, 만화콘텐츠2, K-Project
  • 2학년
    영상촬영과조명, 영상연출, 캐릭터제작, 3D그래픽스, 미디어씽킹, 영상미술, 시나리오작법과창작, Nano-LAB기초1, 앱디자인과프로그래밍, 영상편집, 3D애니메이션, Nano-LAB기초2, 무대영상, 영상음향, 게임콘텐츠, 디지털페인팅, 특수촬영
  • 3학년
    미디어아트1, Nano-LAB심화1, 연기연출, 인공지능과콘텐츠, 상호작용 콘텐츠, 이미지실험워크숍, 브랜디드콘텐츠, 영상미디어 콘텐츠제작, 이용자제작콘텐츠, 미디어아트2, 영화콘텐츠, Nano-LAB 심화2, 영상그래픽VFX, VR/AR/XR 콘텐츠, 브랜디드콘텐츠종합설계, 융복합영상프로젝트
  • 4학년
    미디어콘텐츠비지니스모델, 차세대콘텐츠기획종합설계, 원천콘텐츠기획종합설계, 미디어콘텐츠기획종합설계, 미디어콘텐츠유통서비스, 미디어콘텐츠제작종합설계, 원천콘텐츠제작종합설계, 차세대콘텐츠제작종합설계

전공교과목 해설표

개설과목 및 교과목해설
교과목명 교과목 해설 비고 설강
국문 영문 국문 학년 학기
미디어콘텐츠1 MEDIA CONTENTS 1 미디어콘텐츠 기획 역량 중 미디어콘텐츠 분야 기획 전략을 수립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전공 교과 중 미디어콘텐츠에 트랜드를 분석하고 기획을 세울 수 있다. 만화, 애니메이션, 단편영화, 1인 미디어,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분야를 이해하고 이를 창작하는 실기로 진행한다. 전선 1 1
만화콘텐츠1 COMIC CONTENTS 1 만화콘텐츠1은 글과 그림을 통해 연출된 이미지 콘텐츠를 제작, 활용하는 일이다. 만화 작품 기획-스토리 구성-캐릭터 구상 및 디자인-세계관 설정-장면 연출-콘티-캐릭터 작화-배경 작화-채색 등의 단계를 학습한다. 만화콘텐츠 제작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만화 창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 출판만화, 웹툰, 그래픽노블 창작 실기가 진행된다. 전선 1 1
비주얼커뮤니케이션 VISUAL COMMUNICATION 미디어콘텐츠 분야 기획 전략을 수립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콘텐츠 실무제작을 위한오피스, 그래픽, 영상미디어 프로그램 기초 교과이다. 콘텐츠 제작을 위한 타이포그래피디자인, 인포그래픽, 편집디자인, 포스터디자인 등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실기 및영상그래픽을 위한 실무 내용을 학습할 수 있다. 전선 1 1
미디어콘텐츠2 MEDIA CONTENTS 2 미디어콘텐츠 기획 역량 중 미디어콘텐츠 분야 기획 전략을 수립하거나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전공 교과 중 미디어콘텐츠에 트랜드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제작 단계, 예산 기획, 장비 운용 기획을 할 수 있다. 만화, 애니메이션, 단편영화, 1인 미디어,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분야를 이해하고 이를 창작하는 실기로 진행한다. 전선 1 2
만화콘텐츠2 COMIC CONTENTS 2 만화콘텐츠2는 만화콘텐츠1의 심화 단계로 만화콘텐츠1의 단계를 반복하며 만화 디지털 활용, 원고 편집, 서비스 편집, 저작권 관리 등을 학습한다. 만화콘텐츠 제작수업은 만화콘텐츠 제작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만화 창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과정이다. 전선 1 2
사진&이미지 Photograph&Image 사진&미디어수용자 및 미디어공급자에게 서비스제공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문화콘텐츠 분야를선정하거나 결합하여, 미디어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고실행하고 관리하는 역량이다. 실용사진은 영리를 목적으로 다양한 매체에 적합한 사진적 표현방법을 기획하고시각화하는 일이다. 본 교과에서는 실용사진 제작을 위한기획, 장비, 조명, 인물촬영, 제품촬영, 풍경촬영 등 전반의 프로세스를 배운다. 전선 1 2
상호작용예술과 피지컬컴퓨팅 INTERACTIVE ART AND PHYSICAL COMPUTING 상호작용예술과 피지컬 컴퓨팅은 Processing 언어와 오픈소스 Arduino 플랫폼을 사용한 회로설계, LED 제작, 마이크로 컨트롤러 프로그래밍, 움직임, 조명, 센서와 모터, 사운드, 무형의 데이터와 오브제?설치물 간의 상호작용예술 실기교과이다. 전필 1 2
케이-프로젝트 K-PROJECT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전공 및 생활지도를 통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진로에 대한 자기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전선 1 2
영상연출 VIDEO DIRECTING 영상연출이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서 대중들에게 정보,재미, 감동을 전달하기 위하여 스토리가 있는 영상 콘텐츠를 예술적이고, 기술적으로 창작하는 일이다. 영상연출수업은 영상연출에 대한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과정이다. 전필 2 1
영상촬영과 조명 VIDEO SHOOTING AND LIGHTING 영상촬영과 조명은 조명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디지털사진 및 디지털 비디오 이론 및 실기 교과이다. 콘텐츠제작을 위해 그 목적과 내용, 형식에 맞게 카메라를 통해영상으로 창조하고 품질을 관리하는 일이며 영상조명은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기술적으로 적당한 밝기를 주어공간, 시간, 분위기를 전달하도록 빛을 활용하는 일이다.영상촬영과조명 수업은 영상촬영과 영상조명에 대한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 전필 2 1
영상편집 DIGITAL FILM & VIDEO EDITING 영상편집은 콘텐츠의 제작의도를 분석하고 영상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여 스토리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영상작품을 최종 완성하는 일이다. 영상편집 수업은 영상편집에 대한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 미디어콘텐츠 영상제작(영상연출, 영상촬영, 영상조명, 영상미술등)을 통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전필 2 2
시나리오작법과 창작 SCENARIO WRITING 시나리오 작법이란 시나리오 창작 위해 제재를 선택하고,스토리를 구상하고, 시나리오의 요소에 대해 이해하며,플롯 및 스토리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능력이다. 시나리오 창작이란 영화제작을 위해 수립된 기획안에 부합하는 스토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다. 시나리오 작법과 창작수업은 시나리오작법 학습을 토대로 시나리오를 창작하는 과정이다. 전선 2 1
미디어씽킹 MEDIA THINKING 미디어콘텐츠 중 문화콘텐츠(방송, 영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등) 분야 제작을 위한 미디콘텐츠기획역량 교과이다. 미디어 씽킹은 미디어콘텐츠 읽기, 만들기, 보여주기를 통해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 능력을 습득하는 이론 및 실습 교과목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며,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에 접근하여 메시지를 분석하고 평가하고 의사소통 할 수 있는 능력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읽기, 쓰기, 말하기, 컴퓨터 사용, 정보의 시각적 제시의 해독, 심지어는 음악적 제시의 해독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다. 전선 2 1
캐릭터제작 CHARACTER PRODUCTION 캐릭터 제작1은 다양한 콘텐츠 제작과 상품화를 위하여인물이나 동·식물, 유무형의 사물의 모습을 독창적인 이미지로 형상화하는 일이다. 미디어콘텐츠를 위한 캐릭터디자인 이론 및 실기 교과이다. 전선 2 1
3D그래픽스 3D GRAPHICS 3D 그래픽스란 3D컴퓨터그래픽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모델링 기법 이해 기반에서 인체해부학적인 지식과 캐릭터의 움직임을 감안하여 설정된 캐릭터 디자인을 토대로캐릭터를 모델링하고 셋업하는 능력이다. 전선 2 1
영상미술 PRODUCTION DESIGN 영상미술은 다양한 미디어콘텐츠(미술, 디자인,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영상, 공연예술분야의 시각적 표현 등)의영상 표현을 위한 이론 및 실기 교과이다. 영화, 애니메이션 등 영상 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이론 및 실기로 진행된다. 영상미술은 종합 예술로서 영상제작에 있어서 텍스트의 분석을 통하여 콘셉트,공간, 인물의 창의적 시각화를 위해 미술적 요소를 계획ㆍ설계ㆍ제작ㆍ관리하는 일이다. 영상미술 수업은 영상미술에 대한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 전선 2 1
앱디자인과 프로그래밍 APP DESIGN AND PROGRAMMING 디자이너, 미디어 아티스트를 위한 모바일 앱 디자인과프로그래밍 이론과 실기 교과이다. 전선 2 1
Nano-LAB 기초1 NANO-LAB BASIC 1 미디어콘텐츠전공 학생들의 전공심화 및 현장활동에 대한 다양성을 제공하기 위한 집중이수제 교과로, 학생들의 전공역량과 학우들간의 소통, 미디어콘텐츠 트랜드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강의실 강의 또는 현장학습(전시, 공연 관람 등)을 통해 전통적인 수업교과에서 벗어난 랩/프로젝트 개념의 강의이다. 전선 2 1
무대영상 STAGE VIDEO 무대영상이란 공연예술작품을 위해 영상콘텐츠를 활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일이다. 이 수업에서는 무대영상의 학제적 접근에서 부터 실질적인 제작의 전 과정을 학습한다. 연극, 영화, 텔레비전, 페스티벌 등의 세트디자인및 극적 공간 디자인의 이해를 통한 무대영상제작 교과이다. 전선 2 2
디지털페인팅 DIGITAL PAINTING 이 교과목은 본격적 융합 시대의 미디어 간 융합을 기반으로 캐릭터, 만화, 그래픽노블, 웹툰 창작을 위한 예술+기술 적용 방법을 모색하고 실습함을 목표로 한다. 전선 2 2
영상음향 VIDEO ACOUSTICS 영상음향제작은 영상매체와 관련된 음향 요소를 녹음하고 디자인하여 영상에 최적화된 음향콘텐츠를 제작하는일이다. 영상음향 수업은 영상음향제작에 대한 직무 및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영상음향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 샘플, 매시업, 리믹스등의 이해와 실습을 통한 미디어콘텐츠분야(방송, 영화,영상, 인터렉티브 미디어, 게임 등) 사운드디자인 이론 및실습 교과이다. 전선 2 2
게임콘텐츠 GAME CONTENT 게임콘텐츠는 게임 디자인의 전반적인 과정과 흐름을 이해하고 재미요소를 도출하기 위한 초기 기획부터 개념방향성 수립, 제작과 실습으로 이어지는 교과이다. 게임기획에서부터 실질적인 프로그램 제작-유통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학습할 수 있다. 전선 2 2
3D애니메이션 3D Animation 3D 애니메이션이란 3D 컴퓨터그래픽스를 활용하여 캐릭터의 동작과 표정을 표현하는 능력이다. 이 수업에서는3D 애니메이션의 학제적 접근에서 부터 실질적인 제작의전 과정을 학습한다. 3D 애니메이션 제작과 관련된 사업기획-제작-사운드제작-후반 제작-시놉시스 구성-시나리오 작성-캐릭터 디자인-2D/3D제작-3D애니메이팅-3D랜더링을 할 수 있다. 전선 2 2
특수촬영 SPECIAL PHOTOGRAPHY 특수촬영은 드론 등 공중촬영, 수중촬영, 짐벌, 스태디캠, 저속/고속/미속 촬영, 모션컨트롤 카메라 등 특수촬영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습 교과이다. 미디어콘텐츠영상제작(영상연출, 영상촬영, 영상조명, 영상미술 등)을통해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 전선 2 2
Nano-LAB 기초2 NANO-LAB BASIC 2 학생들의 전공역량과 학우들간의 소통, 미디어콘텐츠 트랜드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강의실 강의 또는 현장학습(전시, 공연 관람 등)을 통해 전통적인 수업교과에서 벗어난 랩/프로젝트 개념의 강의이다. 전선 2 2
미디어아트1 MEDIA ART 1 미디어 아트1은 작품의 주제와 그에 맞는 방법을 찾는실기수업으로, 영상에 준하는 다큐멘터리, 비디오, 애니메이션, 만화, 영화 등을 스크린에 해당하는 비디오, 설치,북메이킹, 드로잉, 회화, 설치 등 다양한 매체적 방법론을중심으로 탐구한다. 본 교과를 통해 다양한 미디어콘텐츠매체 연구와 원천 콘텐츠 제작을 학습할 수 있다. 전선 3 1
상호작용 콘텐츠 INTERACTIVE CONTENTES 상호작용콘텐츠는 상호작용 콘텐츠 제작을 위해 필요한아두이노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과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의 제작을 위한 PROCESSING 학습으로 진행된다. 전선 3 1
영상미디어콘텐츠 제작 VIDEO MEDIA CONTENT PRODUCTION 영화, 애니메이션, 시사?교양?예능 등의 방송영상 등 영상미디어 콘텐츠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스토리텔링 이론 및실기를 학습한다. 전선 3 1
연기연출 Acting 연기 연출은 연기 이론 및 실습을 통한 연출력 습득 과정 교과이다. 연기 연출이란 영상콘텐츠를 표현하기 위하여 출연자를 캐스팅하고, 캐릭터를 분석하여 연기하도록연출하는 능력이다. 연기연출 수업은 연기연출에 대한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 전선 3 1
인공지능과 콘텐츠 ARTIFICIAL INTELLIGENCE CONTENT 인공지능과 콘텐츠 교과는 미디어콘텐츠를 생성하는 인공지능에 대해 학습하는 이론+실습 교과목이다. AI ART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기존의 오픈 소스 데이터 자료를활용하여 실습한다. 전선 3 1
이미지실험 워크숍 IMAGE EXPERIMENT WORKSHOP 다양한 이미지 실험의 시도 및 가능성에 관해서 이론과 실제를 통해 모색하며, 평면부터 입체, 영상을 포괄하는 장르 및 미디어 간의 융합실험연구를 목표로 한다. 전선 3 1
브랜디드콘텐츠 BRANDED CONTENT 브랜디드 콘텐츠는 미디어콘텐츠 이용자 소비시장 분석을 할 수 있는 교과이다. 문화콘텐츠(방송, 영화, 음악, 게임, 애니메이션, 만화 등) 시장을 분석하고 분야별 계획을 수립해 유통 플랫폼을 계획할 수 있다. 브랜디드 콘텐츠란 다양한 문화적 요소와 브랜드 광고 콘텐츠의 결합으로, 콘텐츠 안에 자연스럽게 브랜드 메시지를 녹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소비자의 공감과 흥미를 통해 자발적 공유에 이르는 것을 성과 측정 지표 중 하나로 본다.브랜디드 콘텐츠는 브랜디드 콘텐츠에 기반을 둔 작은광고로 브랜드 스토리텔링, 아트 컬래버레이션, 브랜드경험, 공간 마케팅, OOH 광고, 스포츠 마케팅, 게임, 온라인, 1인 미디어, 영상, 모바일, SNS 등을 폭 넓게 다룬다. 전선 3 1
Nano LAB 심화1 NANO-LAB ADVANCED 1 미디어 콘텐츠 전공심화 집중이수 강좌로 전공과 연계된 다양한 콘텐츠들을 찾아 이슈화 시켜 토론및 토의하여 보고 미래의 창의적 콘텐츠 트렌드를 모색해 본다. 전선 3 1
3D입체영상 3D IMMERSIVE CONTENTS DESIGN 실감미디어 3D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 필요한 기획과, 3D 모델링, Mapping과 같은 기본 3D의 이해도를 바탕으로 한 실감미디어 기반 미디어파사드 영상 콘텐츠 제작에 중점을 둔다. 전선 3 1
영화콘텐츠 MOVIE CONTENT 영화콘텐츠는 영화콘텐츠 실기 교과목이다. 영화콘텐츠제작은 극장과 다양한 매체의 상영을 목적으로 스토리를발굴하고 분야별 전문가들이 협업을 통해 영상을 만드는일이다. 전선 3 2
미디어아트2 MEDIA ART 2 미디어 아트1의 심화과정이다. 본 교과는 작품의 주제와그에 맞는 방법을 찾는 실기수업으로, 영상에 준하는 다큐멘터리, 비디오, 애니메이션, 만화, 영화 등을 스크린에해당하는 비디오, 설치, 북 메이킹, 드로잉, 회화, 설치 등다양한 매체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전선 3 2
이용자제작 콘텐츠 USER-GENERATED CONTENT 이용자 제작 콘텐츠 교과목은 모바일 콘텐츠의 이해를통한 창작(발상, 기획, 제작) 및 배급, 창업에 이르는 전단계 학습 및 실습으로 진행 된다. 미디어콘텐츠 제작 역량의 하위 분야 중 콘텐츠 제작과 유통 관리를 할 수 있다. 전선 3 2
Nano-LAB 심화2 NANO-LAB ADVANCED 2 미디어 콘텐츠 전공심화 집중이수 강좌로 전공과 연계된 다양한 콘텐츠들을 찾아 이슈화 시켜 토론및 토의하여 보고 미래의 창의적 콘텐츠 트렌드를 모색해 본다. 전선 3 2
영상그래픽VFX Visual FX 영상그래픽이란 영상제작에 있어 촬영하기 어려운 효과나 상황을 구현하기 위한 시각효과 작업과 영상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모든 그래픽 작업을 총칭하며 영상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일이다. 영상그래픽 수업은 영상그래픽에 대한 직무 및 능력단위, 능력단위요소를 이해하고 영상제작 프로젝트를 통해 이를 체득하는 과정이다.비디오 컬러 보정에서 편집, 디지털 특수효과 전반에 걸친 이해와 실기 전선 3 2
VR/AR/XR콘텐츠 VR/AR/XR Contents (VR/AR/XR(구 가상현실콘텐츠) 교과목은 프로젝트 기반가상현실콘텐츠제작 수업이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온라인.모바일 게임콘텐츠, 모바일/IPTV 콘텐츠, 3D/CG 콘텐츠, 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콘텐츠 기획 및 제작하며 격년제로 가상현실콘텐츠 제작360도 실사 촬영 또는 3D그래픽으로 가상공간을 구성하고, 그 공간 내의 객체를 정의하여 양방향 스토리텔링을구현하는 일이다. 전선 3 2
브랜디드콘텐츠 종합설계 CAPSTONE DESIGN FOR BRANDED CONTENTS 브랜디드콘텐츠를 이해하고 실제 기획 실습 및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캡스톤디자인 교과이다. 전선 3 2
융복합영상프로젝트 CONVERGENCE & CREATIVE PROJECT 다양한 뉴미디어 기술을 접목하여 전시, 공연, VR, 미디어퍼포먼스 영상 제작 기반으로 확장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 기획력과 함께 실험적인 영상작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선 3 2
미디어콘텐츠 비지니스모델 MEDIA CONTENTS BUSINESS MODEL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미디어콘텐츠 시대의 방송, 공연, 영화, 애니메이션, 만화 등 다양한미디어콘텐츠 발상과 기획, 전략의 이해를 통한 창업 실무 교육이다. 전선 4 1
미디어콘텐츠기획 종합설계 MEDIA CONTENTS PLANNING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미디어콘텐트 분야 생태계를 분석하고 예산 기획, 제작 인력 구성, 제작 단계별 예산집행 계획을 세워 실제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계획을 할 수 있다. 전선 4 1
차세대콘텐츠기획 종합설계 NEXT GENERATION CONTENTS 차세대콘텐츠기획종합설계는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인공지능(AI), 온라인.모바일 게임콘텐츠, 모바일/IPTV 콘텐츠,3D/CG 콘텐츠, 사물인터넷(IoT) 등 차세대콘텐츠 기획 및제작 등을 활용한 차세대콘텐츠 기획 역량을 키우고 예산-제작-보완-유통에 이르는 단계를 기획할 수 있다. 전선 4 1
원천콘텐츠기획 종합설계 THE ORIGINAL CONTENT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만화 및 그래픽 노블 콘텐츠, 미디어아트, 캐릭터 제작 등 OSMU가가능한 원천 콘텐츠의 창작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전선 4 1
차세대콘텐츠제작 종합설계 THE NEXT GENERATION CONTENT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차세대콘텐츠 제작 종합설계 교과를 통해 수립된 기획을 제작 및유통에 이르기까지 진행된다. 인공지능, VR, XR, 모바일앱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콘텐츠의 유통 서비스역량을 기를 수 있다. 전선 4 2
미디어콘텐츠 유통서비스 MEDIA CONTENT DISTRIBUTION SERVICE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미디어 분야의 기획-제작-유통, 배급에 이르는 전 과정과 구조를 이해하고, 미디어콘텐츠를 미디어 수용자에게 서비스하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하여 스마트 미디어 유통 기술을이해하고 OSMU를 통해 다양한 유통망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교과이다. 전선 4 2
미디어콘텐츠제작 종합설계 COMPREHENSIVE MEDIA CONTENT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미디어콘텐트 분야 생태계를 분석하고 예산 기획, 제작 인력 구성,제작 단계별 예산집행 계획을 세우고, 기획 전략을 수립하여 관리하는 교과목이다. 전선 4 2
원천콘텐츠제작 종합설계 ORIGINAL CONTENTS PRODUCTION 미디어콘텐츠학과 졸업 작품 지도 교과이다. 원천콘텐츠제작종합설계 교과를 통해 수립된 기획을 제작 및 유통에 이르기까지 진행된다. 만화 및 그래픽 노블 콘텐츠,미디어아트, 캐릭터 제작 등 OSMU가 가능한 원천 콘텐츠의 창작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전선 4 2
TOP